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8

바다향 가득한 통영 하루 – 충무김밥, 꿀빵, 동피랑, 미륵산 케이블카 ‘한국의 나폴리’라 불리는 통영은 푸른 바다, 오래된 항구, 그리고 골목마다 숨겨진 이야기로 가득한 도시입니다. 이곳을 걷다 보면 식욕과 감성이 동시에 채워지는 진한 여행이 펼쳐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통영을 여행하며 꼭 맛봐야 할 로컬 음식인 충무김밥과 꿀빵, 그리고 그 음식과 함께 하루를 더욱 빛내주는 동피랑 벽화마을과 미륵산 케이블카를 중심으로 통영만의 ‘먹고 걷는 하루 여행’을 소개합니다.통영의 대표 음식, 충무김밥과 꿀빵 – 간결함 속의 깊은 맛통영에서 가장 유명한 음식 중 하나는 단연 충무김밥입니다. 흰 쌀밥만 싸놓은 김밥과 함께 오징어무침과 무김치를 따로 곁들여 먹는 방식으로, 김밥에 반찬을 따로 주는 이 독특한 스타일이 통영만의 매력입니다. 충무김밥의 유래는 항구에서 일하던 이들이 김밥이 눅.. 2025. 6. 23.
전주에서 만나는 깊은 맛과 고즈넉한 멋 – 비빔밥, 콩나물국밥, 한옥마을, 경기전 전주는 단순히 맛있는 도시, 또는 전통의 도시라고만 표현하기에는 부족합니다. 이곳은 ‘맛과 멋’이 오랜 시간 어우러져 내려온 도시이자, 먹고 걷고 머무는 모든 경험이 특별한 ‘로컬의 품격’을 품고 있는 곳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주 여행의 대표적인 음식과 관광지를 중심으로, 단 하루만으로도 전주의 정수를 오롯이 느낄 수 있는 코스를 소개해보려 합니다. 비빔밥과 콩나물국밥 같은 로컬 음식부터 한옥마을과 경기전까지의 여정을 함께 따라가볼까요?전주비빔밥과 콩나물국밥 – 한 그릇으로 전주를 말하다전주를 대표하는 음식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역시 비빔밥입니다. 전주비빔밥은 단순히 여러 재료를 섞는 비빔밥과는 차원이 다른 정성과 전통을 담고 있습니다. 총 30여 가지 이상의 나물과 고명이 한 그릇에 정갈하게.. 2025. 6. 23.
도시 한복판에서 만난 로컬 – 전남상점 팝업, 강릉바다살롱, 경기로컬위크 마켓 최근 몇 년 사이, 지역 특산물이 단순히 산지에서 판매되는 것을 넘어 도시 소비자와 짧고 강하게 만나는 방식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바로 ‘팝업스토어’라는 형식을 통해서입니다. 특산물을 매개로 한 팝업스토어는 제품 판매 + 공간 기획 + 브랜드 스토리를 결합하여 도시 안에서도 로컬을 경험할 수 있게 해주는 새로운 콘텐츠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로 운영된 바 있는 도시형 로컬 특산물 팝업스토어 3가지 사례를 소개합니다. 지속 가능성과 브랜드 콘텐츠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사례들입니다.전남상점 팝업 – 광화문에서 만난 남도의 맛과 멋서울 광화문 D타워 지하에 마련된 ‘전남상점 팝업스토어’는 2023년 전라남도청과 전남창조경제혁신센터가 공동 주관해 약 3주간 운영한 도시형 로컬 마켓입니다. 이 팝.. 2025. 6. 23.
특산물을 직접 만들어보는 시간 - 통영 막걸리빚기, 제주 귤잼 클래스, 완주 장아찌 워크숍 로컬 특산물을 ‘사먹는 것’에서 ‘직접 만드는 것’으로 연결하는 흐름이 점차 도시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이제는 단순한 관광이 아니라, 지역의 식재료로 직접 빚고, 섞고, 담그며 그 땅의 이야기를 손끝으로 느끼는 체험형 클래스가 각 지역에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운영되고 있는 특산물 기반의 클래스 공간 3곳을 소개합니다. 단순한 체험을 넘어, 지역성과 지속성을 담은 프로그램들입니다.통영 ‘봄날양조장’ 막걸리빚기 클래스 – 경남 쌀과 누룩의 향기를 담다경상남도 통영에 위치한 ‘봄날양조장’은 전통 방식의 막걸리를 직접 빚어볼 수 있는 체험형 양조장입니다. 이곳은 통영의 로컬쌀과 지역산 누룩을 사용해 직접 발효의 전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 2025. 6. 21.
로컬의 취향을 담은 공간 - 제주 무릉외갓집, 전주 히읗상점, 강릉 안녕협동조합 최근 몇 년 사이, 지역의 특산물과 소품, 디자인 콘텐츠를 함께 경험할 수 있는 로컬 라이프스타일 편집숍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단순한 지역 홍보관이나 특산물 판매소가 아니라, 누구나 머물고 싶고, 보고 느끼고 사고 싶은 공간으로서 지역을 담는 방식이 더욱 감각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죠. 이번 글에서는 지금 운영 중인 실존 공간 중 지역 농산물 또는 수공예품을 매개로 라이프스타일 콘텐츠를 함께 제안하고 있는 로컬 편집숍 3곳을 소개합니다.제주 무릉외갓집 – 귤, 콩, 그리고 제주살이의 온기를 전하다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무릉리에 위치한 ‘무릉외갓집’은 폐교된 분교를 리모델링해 만든 복합 로컬문화 공간입니다. 이곳의 가장 큰 매력은 제주 농산물 기반 제품을 중심으로 한 감성 편집숍이 있다는 점입니다. 이곳에.. 2025. 6. 20.
택배로 만나는 로컬 식탁 – 농부의 박스, 제주살림박스, 전북구독상자 도시의 바쁜 일상 속에서도 지역의 제철 식재료를 경험하고 싶은 소비자를 위해 최근 다양한 로컬 특산물 정기 구독 서비스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직접 장을 보러 가지 않아도, 신뢰할 수 있는 생산자의 손에서 갓 수확한 농산물이 박스로 도착하고, 그 안에는 작은 설명서와 레시피 카드, 지역 이야기가 함께 담겨 있죠. 이번 글에서는 지금 운영 중인 실존 지역 구독 박스 서비스 중 브랜드력, 지속성, 콘텐츠 구성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세 가지 구독 서비스를 소개합니다.농부의 박스 – 전국 농가에서 온 한 달치 건강‘농부의 박스’는 로컬푸드 플랫폼 텀팜(Farm Farm)이 운영하는 대표적인 전국 단위 로컬 식재료 정기 구독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매달 한 번, 전국 2~3개 농가의 제철 작물을 선정해 꾸러미 .. 2025. 6.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