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8

마르쉐에서 만난 로컬 식탁 – 서울 마르쉐, 춘천 로컬시장, 부산 농부의시장 정기적으로 열리는 로컬 마르쉐는 단순한 장터를 넘어 지역과 도시, 농부와 소비자가 직접 소통하는 하나의 문화 플랫폼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단순한 채소나 특산물 판매를 넘어서 가공식품, 로컬푸드 디저트, 라이브 쿠킹, 라이프스타일 굿즈 등 다양한 콘텐츠가 함께 어우러지며 ‘특산물을 경험하는 장터’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국에서 운영 중인 주요 로컬 마르쉐 중 실제로 현장에서 참여할 수 있고, 지역 특산물이 중심이 되는 도심형 정기 마켓 3곳을 소개합니다.서울 마르쉐 – 도심 속 농부들이 만든 일요일 식탁서울 혜화와 성수에서 번갈아 열리는 ‘서울 마르쉐@’는 2012년부터 운영되고 있는 대한민국 대표 도심형 농부시장입니다. 매달 1~2회 정기적으로 열리는 이 시장에는 서울 근교와 전.. 2025. 6. 20.
도심 한복판에서 만난 시골의 맛 – 로컬 특산물 팝업스토어 3선 (채소마켓 팝업, 제주보따리, 청년로컬마켓) 최근 몇 년 사이, 서울과 수도권의 대형 상업시설에서는 지역 특산물 기반의 팝업스토어가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전통시장의 분위기와는 또 다른 감각적인 구성, 현대적 공간에 맞춘 포장과 콘텐츠, 그리고 MZ세대와의 연결고리를 만드는 디자인 요소까지 갖춘 이런 도시형 로컬 팝업스토어는 특산물의 새로운 소비 방식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도심 속에서 지역의 맛과 이야기를 체험할 수 있는 실제 팝업스토어 3곳의 사례를 소개합니다.성수 '채소마켓 팝업' – 곡성 마늘, 괴산 쌈채, 남해 콜라비가 성수로 오다서울 성수동의 대표적인 팝업 플랫폼 ‘성수연방’에서는 지속적으로 로컬 브랜드와 농가를 연결하는 팝업 마켓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중 가장 주목할 사례는 ‘채소마켓 팝업’입니다. ‘채소마켓’은 성.. 2025. 6. 20.
지역이 담긴 한 잔의 여유 – 농산물로 빚은 감성 로컬 카페 3곳 (괴산 카페 산막, 고창 복분자랩, 제주 하도감귤다방) 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콘텐츠는 이제 가공품을 넘어 공간 중심의 소비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카페는 MZ세대에게 가장 감각적인 소비 장소이자, 지역 농산물의 맛과 스토리를 자연스럽게 전달할 수 있는 채널로 자리 잡고 있죠. 이번 글에서는 실제 운영 중인 지역 기반 카페 중 지역 특산물을 중심에 둔 콘셉트 카페 3곳을 소개합니다. 충북 괴산의 ‘카페 산막’, 전북 고창의 ‘복분자랩’, 제주 구좌의 ‘하도감귤다방’은 맛, 디자인, 스토리, 공간 모든 면에서 지역성과 감성을 동시에 담아내고 있괴산 ‘카페 산막’ – 유기농 작두콩차와 고랭지 청국장 케이크의 조화충북 괴산의 깊은 산자락에 위치한 ‘카페 산막’은 괴산 로컬 농산물을 활용한 메뉴로 주목받는 감성 카페입니다. 작두콩, 들깨, 된장, 청국장, 사.. 2025. 6. 19.
지역 특산물 체험형 여행지 직접 보고, 만들고, 맛보다 – 경북 영주, 전남 강진, 제주 서귀포 요즘 여행의 트렌드는 단순한 관람이 아닌 ‘체험’입니다. 특히 가족 단위 여행자나 MZ세대는, 지역 특산물을 단순히 구입하거나 먹는 것을 넘어서 직접 만들어보고 배워보는 참여형 여행 콘텐츠를 선호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국 각지에서 운영 중인 지역 특산물 체험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경북 영주의 ‘부석사 사과농장 체험’, 전남 강진의 ‘청자 도자기 체험’, 제주 서귀포의 ‘감귤 따기+디저트 클래스’처럼 직접 보고, 만들고, 맛보는 지역 특화 체험형 여행지들을 모았습니다.경북 영주 – 사과 따고, 말리고, 쿠키로 굽는 부석사 체험농장경북 영주는 일교차가 커서 사과 재배에 최적의 기후를 갖춘 지역입니다. 이곳 부석사 근처에 있는 ‘소백사과체험농장’에서는 아이부터 어른까지 모두 즐길 수 있는 사과 수확 및 가.. 2025. 6. 19.
MZ세대가 반한 지역의 맛과 멋 - 한라봉맥주, 사과디저트, 오미자패키지 특산물이 이제 단순한 먹거리를 넘어, 콘텐츠와 브랜딩의 핵심 자원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MZ세대는 전통적인 ‘로컬 먹거리’보다 감성적이고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콘텐츠에 끌리는 경향이 강한데요, 이를 잘 반영한 브랜드들은 눈에 띄게 빠른 속도로 팬층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역 특산물을 MZ세대의 감각에 맞게 풀어낸 실제 사례들을 소개합니다. 제주의 한라봉맥주, 예산 사과디저트, 문경 오미자 패키지 콘텐츠처럼 실제로 운영 중인 브랜드이자, 감성과 콘텐츠가 결합된 트렌디한 특산물 콘텐츠 3가지를 골랐습니다.제주 한라봉맥주 – 감성 라벨과 제주향 가득한 로컬 수제맥주제주의 대표 과일인 한라봉이 이제는 맥주로도 즐길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제주의 로컬 브루어리 제주맥주(Jeju Beer .. 2025. 6. 19.
로컬이 살아있는 공간들 - 성수 채소마켓, 한남 파머스테이블, 서촌 통의동 보안여관 최근 몇 년간 서울 도심 곳곳에서는 지역 식재료를 직접 만나고 체험할 수 있는 공간들이 눈에 띄게 늘고 있습니다. 이 공간들은 단순한 상점이나 카페를 넘어, 지역의 맛과 이야기를 도시에 소개하는 현대적 로컬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죠. 이번 글에서는 서울을 중심으로 ▲성수동의 채소마켓, ▲한남동 파머스테이블, ▲서촌의 통의동 보안여관이라는 실제 공간을 소개합니다. 이들은 모두 실존하며, 지역 농산물이나 특산물을 도시에서 만날 수 있는 중요한 접점이 되어가고 있습니다.성수동 채소마켓 – 산지 제철 채소를 도시 한복판에서 만나다서울 성수동은 요즘 ‘로컬 트렌드의 중심지’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 중심에서 주목받는 공간이 바로 ‘채소마켓’입니다. 이곳은 단순한 채소 가게가 아니라, 전국 각지의 제철 농산물을.. 2025. 6.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