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안동은 유교 문화의 본고장이자, 오랜 전통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역사 도시입니다. 음식에서도 그 정신이 깃들어 있으며, 고즈넉한 마을과 아름다운 자연 속을 걷는 경험은 정적인 여행의 진수를 보여줍니다. 이번 여행은 안동의 전통음식 ‘헛제사밥’과 ‘간고등어구이’를 맛본 후, ‘하회마을’과 ‘월영교’를 잇는 하루 여정으로 맛과 풍경, 전통과 여유가 공존하는 길을 따라갑니다.
헛제사밥 – 조상의 음식을 일상으로 전하다
‘헛제사밥’이라는 이름에서부터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합니다. 말 그대로 제사 음식처럼 차려지지만, 실제로는 제사를 지내지 않고 상을 올린다는 뜻으로, 유교 문화가 깊은 안동 지역에서 일상식으로 발전한 음식입니다.
헛제사밥은 각종 나물과 탕국, 전, 구이류 등 제사상에 올라가는 음식들이 백반처럼 제공됩니다. 가짓수가 많고, 간이 세지 않아 고요하고 정갈한 식사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특히 인기입니다. 헛제사밥 맛집으로는 ‘까치구멍집’, ‘안동식당’ 등이 유명합니다. 상차림에는 고사리, 도라지, 시래기, 콩나물 같은 나물류를 비롯해 홍합탕국, 동그랑땡, 생선구이, 묵무침 등 다양한 반찬이 한상 차림으로 제공되며, 특히 ‘묵국’이나 ‘홍합국’은 그날의 국물로 바뀌기도 합니다.
한 그릇 한 그릇 정성을 다해 만들어진 음식들은 허투루 먹을 수 없는 차분한 맛을 갖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헛제사밥은 단순한 지역 음식이 아니라 안동 사람들의 삶과 정신, 그리고 전통이 담긴 소중한 식사 문화의 일부라 할 수 있습니다.
간고등어구이 – 보관의 지혜가 만든 별미
안동 간고등어는 단순한 생선구이가 아닙니다. 내륙지방인 안동에서 바다 생선을 오래 보관하기 위해 소금으로 간을 해 저장성을 높인 것이 시초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그 특유의 고소한 맛과 쫄깃한 식감으로 전국적인 명성을 얻은 지역 특산물이 되었습니다.
간고등어는 살짝 짭조름하면서도 고등어 특유의 고소함이 살아있고, 기름기가 적절하게 배어나오는 맛이 특징입니다. 안동에서는 간고등어를 전통 방식 그대로 숯불 혹은 직화로 구워내며, 그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한 질감을 자랑합니다.
대표 맛집으로는 ‘명가안동간고등어’, ‘간고등어마을’ 등이 있으며, 일부 식당은 1인 간고등어 정식으로 제공해 혼자 여행 중인 사람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습니다. 간고등어와 함께 나오는 된장찌개, 시래기무침, 고추장무침 등이 조화를 이루며 밥도둑 반찬으로 제 몫을 다합니다.
또한 간고등어는 포장 판매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어, 여행 선물로도 인기가 많습니다. 냉동포장 제품은 전국 배송도 가능하며, 안동 시내 특산품 매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그 맛은 집에서도 안동의 풍미를 되새길 수 있게 합니다.
하회마을과 월영교 – 전통과 자연이 흐르는 길
안동 하회마을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대표적인 전통 민속 마을입니다. 조선시대 풍산류씨 가문이 대대로 살아온 마을로, 지금도 기와집과 초가집이 실제 거주 공간으로 유지되고 있는 생생한 유적입니다.
마을 입구부터 고즈넉한 골목길이 이어지고, 곳곳에는 전통 탈, 장독대, 느티나무 등이 시간이 천천히 흐르는 듯한 풍경을 만들어냅니다. 특히 부용대에서 내려다보는 마을 전경은 하회(河回)라는 이름처럼 낙동강이 마을을 휘감아 도는 천혜의 지형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는 포인트입니다.
하회마을을 둘러본 뒤에는, 안동 시내로 돌아와 ‘월영교’를 걸어보길 추천합니다. 월영교는 국내에서 가장 긴 목조다리로, 밤이 되면 조명이 켜져 운치 있는 산책 코스로 변신합니다. 강 위를 걷는 듯한 느낌과 주변 수변공원의 조경이 어우러져 낮과는 또 다른 감성을 선사합니다.
다리 한편에는 조선시대 부부의 애틋한 사랑을 담은 ‘월영각 편지’ 이야기가 조형물로 전시되어 있어 사랑과 정서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여행자들의 마음을 붙잡습니다. 낮에는 풍경을, 밤에는 분위기를 걷는 월영교는 안동 여행의 마무리로 더없이 좋은 장소입니다.
안동의 하루, 전통과 풍경으로 깊어지다
안동은 겉으로는 조용하지만, 그 속은 수백 년의 시간과 정서가 켜켜이 쌓인 도시입니다. 헛제사밥의 정갈함, 간고등어의 구수함, 하회마을의 전통, 월영교의 운치가 함께 어우러지는 하루는 짧은 여행 이상의 울림을 줍니다. 오늘의 피로를 내려놓고, 고요함 속에서 나를 채우는 시간. 그 여행지로 안동만큼 알맞은 곳은 또 없습니다.